2020년 9월 18일 금요일

2020년 9월 모의고사 3학년 세계지리 - 2번 건조기후 농업방식

 


1. 주로 건조기후의 농업은 오아시스농업, 유목, 대추야자 등 전통적인 농업방식이나 작물에 대한 문제가 주로 출제 되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사막기후지역의 대규모 경작 및 지하관개수로를 부감샷(하이앵글)에서 찍은 사진을 자료로 제시하였다. 기존의 지하관개수로가 단면도 그림을 주로 사용한 것과 다르게 출제된 경우이다.

2. 현대의 사막 관개농업(위 자료 좌측)은 인공위성 사진에서도 보이는 만큼 '미스테리 서클'로 불리기도 한다. 마치 페루의 나스카 지상화처럼 상공에서 봐야 알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어 자료제시의 난이도는 높게 선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가. 이집트 사막에 확장중인 원형 관개농업 사진(연도별 변환)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인공위성에서 이집트지역의 원형경작지가 연도별로 늘어나는 영상으로 만든것이다. 인공위성 사진이라 작게 보이지만, 원형경작지의 반경이 400m로 직경은 800m에 이르는 거대한 경작지로 볼 수있다.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사막기후(연 250mm이하)에서 이러한 경작이 가능한 이유는 지하수 개발에 있다. 지하수라고 모든 곳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고 오스트레일리아의 대찬정분지의 경우는 바다속에서 형성된 지층으로 지하수에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원형경작이 불가능 하다.  

     


  나. 원형경작지 인공위성사진
 아래 그림처럼 경작지의 전반이 경작지가 아닌이유는 계절에 따라 지하수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절반만 경작지로 이용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형태의 농업은 과거 지하수가 솟아나는 오아시스 주변에서 농사를 짓는 방식과는 구분되는 것이다.    
(사진출처 : NASA Earth Observatory)

  다. 지하관개수로
 주로 과거의 시험문제에서는 아래의 왼쪽의 그림이 주로 출제가 되었지만, 이번 문제는 지하관개수로를 위에서 바라보며 찍은 사진이 출제되어 다소 자료제시에 난이도가 올라갔다고 할 수있다. 보기에도 각각의 우물이 지하로 연결된것인데 막연하게 설명되어 다소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지를 남겼다.

 

  라. 원형경작지 동영상
원형경작지 가운데에 지하수를 끌어들이는 우물이 있으며 이곳에서 뽑아올리 물을 호수를 통해 원형으로 시간에 맞춰 뿌리는데 길이가 길어서 원형 내부의 중간중간에 기중을 세워 여러대의 바퀴가 동시에 움직이며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원형경작지 물공급 시스템 : 출처 유튜브)








3. 문제 분석
 왼쪽 원형경작은 전통적인 오아시스 농업과는 다른 형태로 최근 지하수를 이용하면서 나타난 농업방식이다. 원형경작지 중앙에 지하수를 개발하여 400m에 달하는 호수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 전통 방식의 우물과는 차이가 있다. 3번 보기는 정확하게 하면 가각의 우물은 지하 수로를 통해 연결되어있다.로 해야 좀 더 정확한 표현일 것으로 보인다. 지하관개수로이므로 4번 보기의 외래하천을 끌어오는 방식과는 관계가 없으며, (가)는 최근의 농업방식이고 (나)는 전통농업방식이라 시기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